본문 바로가기

옛글/모바일 이야기

[WM이야기] 윈도우 모바일 커널 'Window CE'란 ? -두 번째 시간

반응형

반갑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글을 나누다보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양해부탁드립니다.

저번 시간에 Window CE가 이러이러 저러저러하다는 개념을 알았으니 간단한 이론이나 부팅로더 순서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저 또한 접한지 2주일 가량 밖에 되지 않아 매우 초보적이니, 혹시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바로바로 ! 지적을

꼭 부탁드립니다 !

*왜 티스토리는 Copy & Paste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까요ㅜ_ㅜ 힝...

자 ! 위의 그림을 보시죠. 어려워보이지만 그닥 어려운게 아닙니다.

저 CPU는 여러분의 스마트폰 안에 있는 CPU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NK.nb0이 뭐냐구요 ?

첫번째 시간에 말씀드렸 듯, 윈도우 CE는 윈도우 개발툴을 이용해서 개발자가 원하는 기능만을 모아 윈도우를 만들고,

그 만들어진 파일이 바로 저 NK.nb0입니다!! (Rom File, OS image File이라고도 합니다)

이 Window CE가 소형이 들어 갈 수 있는 이유는 1KB이하의 메모리(아~주 작은 메모리 용량)에서도 동작이 하기에,

PC나 커다란 부품이 아닌 아주 작은 부품들의 하드웨어 성능에서도 아주 충분히 돌아가기에 Embeded OS라고 칭할 수 있습니다.

XIP(eXecute In Place) 도 지원하는 데요, 영어 뜻 그대로 어디에서건 ! 동작을 합니다 란 뜻이 되겠네요^^

저 NK.nb0을 통해 소형 디바이스가 부팅을 시작하게 됩니다.



조금만 더 상세히 들어가 볼까요?^^

 
KernelOS의 가장 핵심적 요소
Filests.exe  
Object Store
초기화 : 주 저장 장소/ Processor실행순서
Device.exe – Device DriverLoad하고 관리
Service.exe – System Processor 실행
* PC – Device Driver
kernel mode Software
  Mobile – Device Driver
User mode Software 포함
GWES.exe그래픽, 이벤트, 메시징 관리
EXPLORER.exe기본 UI를 제공하는 system Processor


위의 파일 순서대로 실행이 되고 부팅이 되겠습니다 ^^ 세번째 시간에서 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