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45)
내 생에 첫 노트북 '맥북 프로 15인치' 이제 아이폰 관련 개발일을 시작하면서 회사에서 받은 맥북프로,제 생에 첫 노트북이네요! 매킨토시는 초등학교 2학년쯤인가... 초등학교 전산실에 있던 매킨토시를 쓴 이후로는 거진 써본적이 없네요. 아직은 많이 적응도 되지않았지만 (당장에 느끼는 점은 디스플레이와 디자인은 최강이네요) 앞으로 맥북을 공부하며, 그리고 iOS를 공부하며 새로운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이제... 사과를 너무나 좋아하게 될 것 같다는 산뜻한 느낌입니다.
카카오톡 API "조금 더 Open 해주세요!" 카카오 스토리가 나오고 카카오톡에 기반한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카카오톡 수입이 적자'라는 기사도 나오더군요. 카카오톡이 지향하는 '플랫폼'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API입니다. 카카오톡에서 개발하는 이외에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해서 제공 되는 API를 사용해서 다른 개발자들이 새로운 앱과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으로의 진화과정에서 '링크 API'를 제공한 후 이를 이용해서 '전생에 우리는'이라는 어플을 만들고 나니, 아쉬운점이 한둘이 아니더군요. (카카오톡 API는 '카톡'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페이스북 앱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니, 아무리봐도 여러가지로 '플랫폼'으로서의 카카오톡과 비교를 하니 안타까운 점이 많습니다..
윈도우 8 컨퍼런스가 개최되네요. 윈도우 8 개발자 컨퍼런스가 오는 4월 13일날 개최됩니다. 사전등록한 후 *( 마이크로스프트 개발자 등록 ) 참가비는 따로 없구요. 앱 개발자로 등록 시 무료 기술지원, 60개 업체 한정으로 앱 코드 리뷰 및 컨설팅 서비스까지 지원을 합니다. 이번 윈도우 8이 타격을 입게 되면, 마이크로소프트 자체에 꽤나 큰 타격이 될 것이라는 포스팅에 이어 본격적으로 전폭적인 지원을 시작하네요. http://www.startsomething.co.kr/event/app1.html 개발자사이트에도 명시되어 있듯, 전 세계 4억 5천만대의 Windows 기반 PC가 여러분의 메트로 스타일 앱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라는 부분에서 독점 정도로 전세계의 대부분의 PC OS를 기반으로 한 이번 윈도우 8은 기존의 OS와 굉장히..
[Android] UTC 16진수 Date Format으로 변환하기 UTC millisecond를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UTC는 1970년 1월 1일부터의 millisecond입니다. (Zigbee 통신 방식에서는 2000년도부터의 millisecond 로 계산이 됩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하게 계산식을 통해 여러 포맷으로 변환이 가능하며, 국제적인 협약에 따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UTC를 포맷으로 변환하는 메서드는, Long 부분 계산에 13자리 맞추실 때 계산식 유의해주세요(long range out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미리 Long Range에 맞춰서 넣는게 아니라, 계산 후에 들어가야 됩니다)
윈도 8 새로운 시도 "사느냐 망하느냐" 윈도우 8 이 "죽느냐 사느냐"에 대해 공방이 뜨겁습니다. 개인적으로 공부를 처음시작할 때 '윈도우'나 '윈도우 기반 프로그래밍'을 공부했던 저도 흥미롭게 이 공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올해 10월부터 윈도 8이 정식으로 출시가 되고, 기존의 32비트 PC와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서돌아가게 할 예정이라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과는 전혀 다른 '메트로 UI' '타일 UI'를 가지고 있고, 기존의 OS와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파괴적일 것이다'라는 평가와 '망할 것이다' 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윈도 8이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한 점은, 메트로 UI와 데스크톱의 '공생' 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그리고 데스크톱의 공생이라는 부분..
카카오 스토리, 플랫폼 진화의 초석이 될 듯 카카오 톡의 '플랫폼' 변화를 힘차게 외쳤던 지난 포부에 이어 '진화의 시작'의 첫발을 내딛은 것 같습니다. '플랫폼'이란 복잡한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메신져 앱에서 '페이스북'과 같은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카카오 스토리는 현재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 느낌은, 기존의 '소셜 앱'들과 유사한 점을 띄고 있습니다. 아마, 카카오 스토리의 특별한 점으로는 안정적이고 빠른 서버와 '카카오톡'과 연동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친구들을 따로 추가를 하지 않아도 되기에 플랫폼으로 가는 길에서는 굉장히 첫 발을 잘 디딘 것 같습니다. 빠른 카카오톡 만큼이나 카카오스토리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느리다'는 느낌은 받지 않았던 것으로 보아 카카오 측에서 '핵심기능을 빠르게'라는 말은 ..
[Android] Activity has leaked window 오류를 잡아내자 Activity has leaked window was originally added here 누수가 된다! Activity는 종료되었으나 열렸던 Dialog가 닫히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Dialog.dismiss() 를 ondestroy 에 꼭 적어 Activity 종료 시 Dialog를 종료하는 방향으로 디버깅을 해보세요~! [출처] Activity com.ktnet.mycoex.app.CoexCanvasAct has leaked window com.android.internal.policy.impl.PhoneWindow$DecorView@48a9af70 that was originally added here|작성자 강똘똘님
스마트폰의 향후 전망은 '이럴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하철을 타면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각자의 생활을 '스마트폰'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때문에 인간관계가 소원해진다는 기사까지 나왔더군요(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위는 방통위에서 조사를 했던 2011년 6월 국내 스마트폰 통신사별 보급률 및 OS입니다. 갤럭시 시리즈에 힘입어 국내에서는 Android가 꽤나 높은 점유율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저 당시 1000만명에 가까운 수치였으니,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15~20%임을 감안하면 현재는 국민의 4분의 1, 젊은 층만을 따지면 거의 70~80%가 넘는 비율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라는 통계가 나옵니다. 과거 스마트한 기기들의 추이를 살펴보면, (음악재생기기) 처음 '마이마이'와 ..